이경공(휘 한)신도비명

이경공 휘 한 양위 묘소
소재지: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마장리 우랑동

묘 표 석


신 도 비


夷敬公神道碑銘竝書
奮身敵愾於逆變危難之際知 聖翊戴於廷論分張之中奠國家於盤泰興右文之至治使人與慕於百世之下者若漢城右尹靑川君諡夷敬沈公諱瀚字濟翁殆其人也公之世靑松以王麗文林郞洪孚起世 國朝諱德符左政丞靑城伯諡定安公爲曾大父也祖諱溫領議政靑川府院君諡安孝公實誕 昭憲王后德配妊姒以開我東無彊之休后之同母弟曰澮領議政靑松府院君諡恭肅公公之考也妣貞敬夫人原州金氏判中樞戴敬公連枝女世宗丙辰擧公于善山二歲隨恭肅公長于京師天禀英邁有才諝未成童博通經史端宗甲戌蔭軍衛錄事膂力過人有膽畧兼治弓馬擢武科魁第授宣傳官累轉五衛司正世祖庚辰除通禮院奉禮歷司宰監正癸未拜司憲府掌令乙酉司僕寺副正冬設楊州牧場與龜城君浚同任軍馬訓鍊丁亥除內資寺正階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五月李施愛叛吉州公之弟判官湲點馬別監殉節于咸興恭肅公時在上相使都元帥曺錫文龜城君浚兵馬節度使許琮觀察使魚世恭等率二萬餘兵出討之炎天霖雨賊據險峻戰勢將持久朝廷深憂六月再遣援軍選將材三十人公亦與焉八月到咸吉道公用孫子兵法搆築陣地于楊花麻訖中峰出二千餘精兵督戰挾攻卽擣賊穴殺賊魅施愛賊弟施郁施伯施玉及賊子植亨等而凱還己丑 睿宗昇遐齊安大君年幼多病 德宗有月山大君者山君各主擁立廷論紛張公力主者山之好學孝弟而推戴奉貞熹王后命卽位是爲 成宗因功拔擢卽除承政院同副承旨陞通政大夫右副承旨賜佐理功臣錄券特賜田十結奴婢廐馬而寵之仲秋社稷祭壇上執禮官奉行大祭辛卯 睿宗妃章順王后尊號追上時以押冊官進奉俱受賜馬之恩典二月 上御經筵持平崔淑精啓曰昨冬以來全無雨雪井川俱渴必是旱兆無乃施愛南怡之亂濫獄所致耶申覈諸道釋放怨獄以回天譴 上嘉納命公考察滯獄之囚良民之屬賊者一一釋免又命公祈雨名山旋得大雨而歲豊又因暴雨敦化門外八間東廊顚覆公奉王命撤破材救被傷者盡心助恤竟無一命之害八月陞左副承旨九月懿敬王廟主造成提調行奉安禮又賜兒馬一匹壬辰與承旨朴始亨世嫌不和事聞幷罷職未幾除吏曹콷議憲府疏論曰犯私罪解職者二年而復職大典定法今沈瀚罷職不過一月而除職不可以至再疏三疏而不止 上曰卿等深知予意而何疏爭如此乎竟不允亦異數也甲午特授嘉善大夫漢城府右尹封靑川君庚子除平安兵馬節度使聞母患而歸晝宵不解帶侍湯盡誠勞悴成疾以四月二十三日卒享年四十七訃聞 上震悼遣官致祭賜諡夷敬安心好靜曰夷夙興恭事曰敬禮葬于坡州廣灘面馬場里牛浪洞戌坐原賜牌地也又命不祧配貞夫人星州李氏叅判師純女領議政星山府院君文景公稷孫 中宗乙亥正月十七日卒葬與公上下兆無育取湲之子順徑爲后奮義翊運靖國功臣嘉善大夫漢城左尹靑城君贈吏曹判書諡胡襄公孫希源郡守興源進士引源副司果側室生長源羽林衛曾孫以下多達官碩德見于譜公之墓闕顯刻諸後孫樹大碑于神道以表其績相得氏具述公行狀請銘於余公之豊功偉烈著在盟府輝赫史乘公自不朽何待淺學蕪筆之揄揚哉厠名爲榮不辭而序之系以銘曰
維靑松氏爲世名閥於赫定安元勳于國繼世上相安孝恭肅公乃篤生克承前烈敵愾翊聖盡忠于國宣陵契合不次擢秩常存敬畏小心愼密位躋亞卿功存社稷竟殉于孝壽不稱德王乃震悼賻祭庇葬賜諡不祧恩誥煌煌維忠維孝道源百行牛浪之原名大夫藏我述而銘百世可忘
歲壬戌重陽節
前成均館典學 居昌 愼思範 謹撰

이경공신도비명병서(번역문)
분발하고 일어나 적에 대한 의분으로 역적의 난을 평정하므로 임금의 신임을 받았고 조정의 의논주장이 갈라진 가운데서도 국가를 반석과 같이 안정시키고 글을 숭상하는 정치를 이루어 사람으로 하여금 오래도록 사모하게한 분은 한성우윤 청천군 이경공이다. 공의 휘는 한(瀚)이요 자는 제옹(濟翁)이며 선계는 청송심씨 고려 문림랑 휘 홍부(洪孚)로부터 시작된다. 조선조에서 휘 덕부(德符)는 좌정승 청성백 시호 정안공(定安公)이니 공의 증조요 조부는 온(溫)이니 영의정 청천부원군 시호 안효공(安孝公)으로 소헌왕후를 낳으니 임사(妊姒)와 같은 덕이 있어 우리나라의 영원 무궁한 아름다움을 열었고 왕후의 동생 회(澮)는 영의정 청송부원군 시호 공숙공(恭肅公)이니 공의 아버지이다. 어머니는 정경부인 원주김씨이니 판중추부사 대경공(戴敬公) 연지(連枝)의 따님으로 세종18년 병진(1436)에 공을 선산(善山)에서 낳았다. 두살때 아버지 공숙공을 따라 서울에서 살며 자랐고 천품이 영특하며 재주가 있어 15세 미만의 나이로 널리 경사(經史)에 통달하였고 단종2년(1454)에 문음(門蔭)으로 군위녹사(軍衛錄事)가 되었으며 용맹이 있고 담략(膽略)이 있으며 겸하여 활쏘고 말타기를 연마하여 무과에 장원하였다. 선전관으로 오위사정(五衛司正)에 옮겼고 세조6년 경진(1460)에 통례원 봉례(奉禮)를 거쳐 사재감정(司宰監正)이 되었다. 계미(1463)년에 사헌부장령이 되었고 을유(1465)년에 사복시부정이 되었고 겨울에 양주목장(楊州牧場)이 설치되자 구성군(龜城君) 준(浚)과 같이 군마훈련하는 일을 맡아보았고 정해(1467)년 내자시정(內資寺正)에 제수되었으며 절충장군 용양위부호군이 되었다. 五월에 이시애(李施愛)가 길주(吉州)에서 반란을 일으켰을 때 공의 동생 판관 원(湲)이 점마별감(點馬別監)으로 출전하여 함흥(咸興)에서 전사하였다. 이때 공숙공이 영의정으로서 도원수 조석문(曺錫文) 구성군 준 병마절도사 허종(許琮) 관찰사 어세공(魚世恭)등을 시켜 2만병력을 인솔하고 평정케 했으나 여름의 더운 날씨에 장마가 계속되고 적이 험준한 곳을 점령하여 전세가 오래 걸리게 되자 조정에서 걱정하여 6월에 다시 후원군을 파견하는데 30명의 장수재목을 선발하는 중에 공도 참여하였다.8八월에 함길도(咸吉道)에 도착하여 공이 손자병법(孫子兵法)을 써서 양화(楊花) 마흘(麻訖) 중봉(中峰)에 진(陣)을 치고 2千여 정병을 출동시켜 좌우로 치열한 전투를 전개하므로서 적의 소굴을 공격하여 역적 이시애와 그의 동생 시욱(施郁) 시백(施伯) 시옥(施玉) 시애의 아들 식형(植亨)등을 소탕하여 난을 평정하고 돌아왔다. 기축(1469)년에 예종(睿宗)이 승하(昇遐)하자 왕자인 제안대군(齊安大君)은 나이가 어리고 병이 많았으며 덕종(德宗)에게는 월산대군과 자산군 두 왕자가 있었는데 조정에서 옹립(擁立)하는 의논이 서로 일치되지 않자 공이 자산군의 학문 좋아하고 효제(孝悌)의 행실이 있음을 주장하여 정희왕후의 명령으로 왕위에 오르니 이분이 성종대왕이다. 추대한 공으로 발탁되어 승정원동부승지에 제수되었다가 바로 통정대부 우부승지에 올랐고 좌리공신에 책훈(策勳)되었으며 밭 10결(結)과 노비와 구마(廐馬)가 하사되었다. 중추(仲秋)의 사직제에 단상집례관으로 대제(大祭)를 봉행하고 신묘(1471)년에 예종비 장순왕후의 존호(尊號)를 올리는데 압책관(押冊官:옥새를 찍는 관리)으로 행사를 마치고 말을 하사받았다. 2월에 임금이 경연(經筵)에 임어(臨御)하자 지평 최숙정(崔淑精)이 글을 올려 말하기를 작년 겨울이래로 비와 눈이 전연 내리지 않아 우물과 냇물이 고갈되었으니 이는 가뭄의 징조요 생각컨대 이시애와 남이(南怡)의 난에 지나치게 죄인을 다룬 소치인가 합니다. 여러 도(道)의 억울한 죄수를 조사하여 석방하는 것이 하늘의 노여움을 돌리는 것이 될 것입니다 하니 왕이 옳게 여겨 공에게 명하여 옥에 있는 죄수와 양민으로서 도적의 무리가 된 자들을 일일이 조사하여 석방하고 또 공에게 명하여 명산에서 기우제를 지내자 큰 비가 내려 풍년들었다. 또 폭우로 돈화문밖 8칸 동랑(東廊)이 전복되자 공이 왕명을 받들어 파손된 재목을 철거하고 부상자를 구출(救出)하므로서 한사람도 목숨을 잃지 않았다. 8월에 좌부승지가 되고 九월에 의경왕묘(懿敬王廟) 신주(神主) 조성의 제조로 봉안례를 마치고 또 아마(兒馬) 한필을 하사받았다. 임진(1472)년에 승지 박시형(朴時亨)과 대대로 지녀 내려오는 혐의가 있어 불화한 사실로 인하여 다같이 파직되었다. 얼마 안되어 공에게 이조참의를 제수하니 사헌부에서 논박하기를 사사로운 죄목으로 파직된 자는 2년이 지나야 복직되는 것이 정법이어늘 이제 심한이 파직된지 한달이 못되어 복직된 것은 불가하다고 하며 두번 세번 상소문을 올리자 임금이 경등은 나의 뜻을 알면서도 이와같이 하느냐하고 끝까지 듣지 않았으니 이 또한 특별한 예우였다. 갑오(1474)년에 특별히 가선대부 한성부우윤에 제수되었으며 청천군(靑川君)에 봉해지고 경자(1480)년에 평안도 병마절도사가 되었다. 어머니의 병환이 위독하여 돌아와 밤낮으로 옷벗고 잘 사이도 없이 시탕(侍湯)에 진력하다가 피로가 쌓여 병들어서 4월23일에 졸하니 향년이 47이요 부고가 전해지자 임금이 크게 놀라고 관원을 보내어 제사지내게 하였으며 이경공(夷敬公)이라 시호를 내리니 마음을 편안히 하고 조용한 것을 좋아하는 것이 이(夷)요 일찍 일어나 일을 공손히 하는 것이 경(敬)이다. 파주 광탄면 마장리 우랑동 술좌에 예장하니 사패지(賜牌地)요 또 부조(不祧)의 은전을 받았다. 배위 정부인 성주(星州)이씨는 참판 사순(師純)의 따님이요 영의정 성산부원군 문경공(文景公) 직(稷)의 손녀로 중종 을해(1515)년 정월17일에 졸하니 묘는 공과 상하분(上下墳)이다. 아들이 없어 원(湲)의 아들 순경(順徑)으로 양자를 삼으니 분의익운정국공신 가선대부 한성좌윤 청성군(靑城君)이요 이조판서에 증직되고 시호는 호양공(胡襄公)이다. 손자에 희원(希源)은 군수요 흥원(興源)은 진사며 인원(引源)은 부사과요 측실소생인 장원(長源)은 우림위(羽林衛)이고 증손이하의 후손중 많은 달관과 석학들이 족보에 실려 있다. 공의 묘에 현각(顯刻)이 없어 후손들이 대비(大碑)를 동남의 신도(神道)에 세워 그 행적을 표하고자 상득(相得)씨가 행장을 가지고 와서 나에게 명(銘)을 청하니 공은 많은 공(功)과 훌륭한 업적이 충훈부(忠勳府)에 있고 역사에 빛났으니 나와같이 글을 할줄 모르는 사람이 어떻게 찬양(讚揚)하리오마는 이름을 부치는 것만으로도 영화롭게 여겨 사양하지 않고 서술(敍述)하며 이어서 명(銘)을 지으니 명은 다음과 같다.
오직 청송심씨는 세상에서 명문이요 훌륭한 정안공은 나라의 원훈(元勳)이며 안효공과 공숙공이 대를 이어 영의정이 되었고 공이 이때 낳아 부조의 업을 이어받았네 역난을 평정하고 임금을 추대하여 나라에 충성을 다하였네 성종께서 믿으시어 각별히 탁용하니 항상 공경하고 두려운 마음으로 매사를 조심하였네 벼슬은 아경(亞卿)에 오르고 공(功)은 사직(社稷)에 남았네 마침내 효도하다가 돌아가니 덕보다 수가 부족하였네 왕이 놀라 치제(致祭)와 예장을 명하였네 시호와 부조(不祧)를 내리니 나라의 은고(恩誥)가 빛나네 충과 효는 백행의 근원이요 우랑의 언덕은 명대부(名大夫)의 산소일세 내가 명을 지으니 백세(百世)가 되어도 잊지 않으리.
1982년 임술 9월9일
전 성균관전학 거창 신사범이 삼가 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