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민공 휘 장세 묘소 묘 표 석 |
十三世祖 贈通政大夫 承政院左承旨 兼 經筵參贊官 行大邱府使公 諱 長世 墓表
我舅氏沈公諱長世字德祖靑松人左侍中靑城伯德符之後高祖諱連源領議政忠惠公曾祖諱鋼靑陵府院君翼孝公祖諱義謙大司憲靑陽君考諱 ![]() ![]() 篤行于家人稱孝子 政成于官世稱循吏 晩卜幽居亦見雅志 不嬰灾難不獲滋垢 無忝其先全歸斯阜 我銘于石可徵來後 畏齋 李端夏 撰 大丘公筮仕屢典郡縣及至丁丑南漢下城下後公年四十四無復當世之意而隱於太白山中以大明遺逸自處與同志四人結社徜徉世所稱太白五賢此乃公之卓卓大節也後雖一出爲大邱府使亦迫於分義非公志也畏齋所撰公墓表不書此大節而但書自解榮川任後無意仕宦卜居於太白山下後雖黽勉復出非其志也或者有所顧忌於時世而然耶公之節義不可泯默故玆書之耳 13세조 증통정대부 승정원좌승지 겸 경연참찬관 행 대구부사공 휘 장세 묘표 나의 구씨(舅氏)①인 심공의 휘는 장세(長世)요, 자는 덕조(德祖)니 청송 사람이며 좌시중 청성백 덕부(德符)의 후손이다. 고조의 휘는 연원(連源)이니 영의정 충혜공(忠惠公)이요, 증조의 휘는 강(鋼)이니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 익효공(翼孝公)이다. 할아버지의 휘는 의겸(義謙)으로 대사헌 청양군(靑陽君)이요, 아버지의 휘는 엄( ![]() 능성구씨(綾城具氏)로 좌찬성을 지내고 영의정 능안부원군(綾安府院君)으로 추증된 문의공(文懿公)인 휘 사맹(思孟)의 따님에게 장가들었는데 익효(翼孝)와 문의(文懿)는 모두 국구(國舅)이다. 안과 밖으로 문호(門戶)의 혁혁함이 세상에서 높았다. 공은 만력(萬曆) 갑오(1594)년 9월 9일에 태어났다. 7兄弟 가운데 서열이 네 번째다. 열 여섯 살에 어머니의 상고를 당했으나 여묘(廬墓)에서 살면서 모든 의례를 제형(諸兄)들과 같이 했고, 계축년(1613)에 가난(家難)을 만나 노인을 뫼시고 남쪽으로 옮겨와서는 몸소 고기잡고 사냥하여 맛있는 음식과 따뜻한 잠자리를 마련해 드렸다. 병이 들었을 때는 옷을 벗지 아니하고 간병하였는데 병이 깊어지자 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내서 받쳐서 회생시켜 이십일 간의 연장을 얻었으나 끝내 대고를 당했다. 슬픔으로 몸이 상하고 상중예절이 지나쳤고 죽을 마시며 3年을 지냈다. 계해년(1623)에 비로소 서울로 돌아왔으나 곧 갑자년③의 변고를 만나 포의(布衣)로 어가를 따라 공주(公州)로 갔다. 그로 인해 의금부도사로 제수됐다. 서울로 돌아와서는 백씨(伯氏)가 고향에서 살았는데 병이 위독하다는 말을 듣고 벼슬을 버리고 달려가서 병간호를 했다. 丙寅年에 다시 금오랑(金吾郞)이 되고 丁卯(1627)年 호란에 어가를 따라 강화도로 들어갔다. 이 때부터 내직(內職)으로 있었는데 평시서(平市署)와 돈녕부(敦寧府)의 주부를 지내고 공조좌랑과 중추부경력과 형조정랑 등을 거쳤으며 외직(外職)으로는 창녕(昌寧)과 안음(安陰)과 부여(扶餘)의 현감을 지내고, 용담(龍潭)현령과 영천(榮川)과 청도(淸道)의 군수를 거쳐 대구부사(大邱府使)가 되었으나 庚子(1660)年 6월 28일에 졸(卒)했다. 이 해 가을 9월 9일에 봉화군의 북쪽에 있는 두곡리(杜谷里)의 간좌(艮坐)의 언덕에 안장(安葬)했다. 공은 孝友의 지극한 정성이 있어서 살아 있을 때나, 죽었을 때나 장사 지낼 때나, 제사 지낼 때에는 정성과 예절을 다했고, 동기(同氣)들이 모두 공보다 먼저 죽었는데 그 자식인 고아(孤兒)와 그 부인인 상부(孀婦)들을 거두어서 돌보며 後事를 경영하되 지극하지 아니한 것이 없었다. 다음 아우가 문장력이 있었으나 일찍 죽었으므로 그가 남긴 글을 모아 유집(遺集)으로 간행했고 묘문(墓文)을 구하여 지석(誌石)을 묻으며 표석(表石)을 세웠고 또 그를 위해 후사(後嗣)를 세웠으며 가솔을 양육해서 자기 자식과 다름이 없게 했다. 순서대로 선세(先世)의 행적(行蹟)을 모아서 열전(列傳)으로 만들고 아울러 족보(族譜)를 간행했다. 또한 외조부인 문의공(文懿公)의 문집을 중간(重刊)하면서 그 아들 죽창공(竹窓公)의 유고(遺稿)를 첨부했다. 그 윤리(倫理)에 독실하여 이러한 종류가 많다. 관직에 있을 때 안부를 물었으나 귀요(貴要)④에게는 미치지 아니했다. 다만 친척 가운데서 가난하거나 또는 천한 사람이 있으면 골고루 도왔다. 정사(政事)는 항상 너그럽고 공평하게 처리하여 남의 말을 듣고 시비를 결단하는 것이 물이 흐르듯 하니 사람들이 공의 밝음에 감복하였다. 일에 옳지 못한 것이 있으면 비록 국가로부터 지령(指令)이 있다고 하더라도 반드시 집념을 가지고 간해서 바르게 고쳐진 뒤에야 그쳤다. 일곱 고을에 수령을 돌아다니면서도 한 마음으로 공사를 봉행(奉行)했다. 벼슬을 그만두고 집에 물러나서는 집이 가난해서 항상 넉넉하지 못했으므로 스스로 받드는 것을 매우 검약(儉約)하게 하여 의복과 안마(鞍馬)는 소박하기가 한사(寒士)⑤와 같았다. 그가 달성(達城)에 있을 때 어머니의 상고를 당했는데 고을 사람들이 예(例)에 따라 부조를 하게 되면 모두 손을 저어서 물리쳤다. 공이 병혁(病革)⑥에 미쳐서도 관(棺)과 대소렴(大小殮)에 필요한 물품은 모두 집에 있는 것을 가져다가 쓰도록 명했으며 官力을 번거롭게 하지 말라고 했다. 공은 기우(器宇)가 뇌락(磊落)하고 정직하며 드높아 교식(矯飾)⑦하거나 名利를 구하는 태도를 매우 부끄럽게 여겨서 미워하기를 원수처럼 여겼다. 남의 옳지 못함을 보게되면 반드시 면전에서 물리쳤고, 자제(子弟)들을 가르치는 데도 반드시 옳은 방법을 택했다. 때로는 가끔 시대를 비관하고 풍속을 민망하게 생각하여 담론(談論)이 격렬할 때가 있으므로 듣는 사람들이 두려워하고 감동하기도 했다. 공이 영천군수(榮川郡守)에서 해임되어 돌아온 뒤로는 벼슬길에 뜻이 없어 봉화(奉化)의 단파(丹坡)에 자리를 정하여 거(居)하니 곧 태백산(太白山) 아래로 가장 깊은 골짜기였다. 그 집을 이름하여 각금(覺今)이라 하고 동지 4人으로 더불어 의를 맺고 노닐면서 이곳에서 일생을 마감하고자 했다. 뒤에 와서 그들과 나누어져 민면(쮈勉)하여 다시 벼슬길에 나오기는 했지만 그것은 공의 뜻이 아니었다. 배위는 창녕 성씨(昌寧成氏)로 생원 달선(達善)의 딸이며 예조참판 수익(壽益)의 손녀다. 남편을 공경으로 섬기고 첩을 은혜로 다스리고 어루만졌다. 공보다 1年 먼저 태어나서 2年 먼저 죽었는데 공이 죽어서 안장할 때 함께 묻었다. 딸이 둘 있는데 맏은 판돈녕부사인 이정영(李正英)에게 출가했고 다음은 감역관(監役官)인 이행적(李行迪)에게 출가했다. 측실(側室)에 아들이 셋 있는데 순(楯)과 성( ![]() 명(銘)하여 이르기를 『독행(篤行)하는 집에 태어나서 사람들은 효자(孝子)라고 칭찬했네. 정치를 관청에서 이루니 세상에서는 순리(循吏)라고들 말하네. 늦게 유거(幽居)할 곳을 가리니 또한 깨끗한 뜻을 보였네. 뜻하지 않은 재난 때문에 자구(滋垢)를 얻지 못하였네. 그 선대에 욕됨이 없이 오로지 이 언덕으로 돌아왔네. 내 돌에 명(銘)하여 다가오는 후세에 남기고자 한다.』 외재(畏齋) 이단하(李端夏)가 짓다. 대구공(大邱公)이 벼슬하여 여러 곳의 군과 현의 수령을 지냈고 정축년(1637)에 와서 남한산성(南漢山城)에서 하성(下城)할 때 공의 나이 44歲였다. 다시는 세상에 나가 벼슬할 뜻이 없어서 태백산(太白山)중에 숨어살면서 대명유일(大明遺逸)⑧이라 자처(自處)하고 동지 네 사람과 더불어 결사(結社)⑨하여 상양(徜徉)⑩하니 세상에서 말하는 태백오현(太白五賢)이다. 이것이 바로 공의 높고높은 큰 절개다. 뒤에 비록 한 번 대구부사로 나간 일이 있으나 또한 분의(分義)⑪에 핍박된 것이고 공의 뜻은 아니었다. 외재(畏齋)가 지은 공의 묘표에는 이러한 큰 절개는 쓰지 아니하고, 『다만 영천(榮川)에서 해임된 뒤로 벼슬길에 뜻이 없어 태백산 아래에 복거(卜居)하였으나 뒤에 민면하여 다시 나왔으니 그의 뜻이 아니었다.』 라고 썼다. 혹 어떤 이가 『혹 시세(時世)에 꺼려하는 바가 있어서 그렇게 한 것이 아닌가?』 하고 의심하여 공의 절의(節義)를 민묵(泯默)시킬 수 없으므로 여기에 기록하여 둔다. 공은 자호(自號)를 각금당(覺今堂)이라 하고 병자호란 이후 관직을 버리고 태백산 아래인 경상도 봉화 문수산 두곡동에서 은거하며 친구인 포옹(抱翁) 진선(進善) 정양(鄭瀁)과, 두곡(杜谷) 사부(師傅) 홍우정(洪宇定)과, 잠은(潛隱) 현감(縣監) 강흡(姜恰)과, 손우당(遜愚堂) 사어(司禦) 홍석(洪錫) 제공과 태백오현(太白五賢)이라 칭하며 존주록(尊周錄)에 들었는바 사후에 손자인 약회(若晦)의 분무원종공(奮武原從功)으로 좌승지(左承旨)에 증직되고 또 순조 병자(純祖 丙子)에 이조참판(吏曹參判)과 또 철종 무오(哲宗 戊午:1858)에 이조판서(吏曹判書)에 특증직되고 시호(諡號)는 정민(貞敏:淸白自守曰貞·應事有功曰敏)이요 안동의 사덕사(竢德祠)에 배향되었다. 주(註) ① 구씨(舅氏):장인 또는 외숙(外叔). 외숙을 내구(內舅), 장인은 외구(外舅)라고 하는데 여기서는 내구(內舅)다. ② 세부(世父):대를 이어가는 아버지. 즉 백부(伯父)의 이칭(異稱). ③ 갑자지변(甲子之變):인조(仁祖 2年, 甲子 1624年)에 안주병사(安州兵使) 이괄(李适)이 반난을 일으켜 서울을 함락시키고 인조는 공주로 피신하였는데 뒤에 도원수(都元帥) 장만(張晩)과 부원수 정충신(鄭忠臣)에 의해 평정된 사건. ④ 귀요(貴要):귀히 되어 요직에 있으면서 정책과 인사를 마음대로 요리하는 사람. 권력을 가진 사람. ⑤ 한사(寒士):벼슬을 하지 못하고 가난으로 고생하는 선비. ⑥ 병혁(病革):병이 위독함. ⑦ 교식(矯飾):실지를 속이고 겉을 꾸밈. 허식(虛飾)과 같음. ⑧ 대명유일(大明遺逸):명나라가 남긴 백성. 명나라가 망한 뒤 명나라를 사모하여 그 백성으로 자처함. ⑨ 결사(結社):일정한 목적을 위하여 여러 사람이 합동하여 단체를 결성함. ⑩ 상양(徜徉):노님. 배회(徘徊)함. ⑪ 분의(分義):명분과 의리(義理).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