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증사복시정공 휘 안세 묘소 묘 표 석 |
安世其名也德裕其字也靑松其籍也靑城伯德符其鼻祖也忠惠公連源翼孝公鋼靑陽君義謙其高曾祖也贈領議政靑川府院君
![]() 東陽尉 申翊聖 撰 13세조 증사복시정공 휘 안세(安世) 묘지 안세(安世)는 그의 이름이요, 덕유(德裕)는 그의 字요, 靑松은 그의 본관이며 청성백 덕부(靑城伯 德符)는 그의 선조이고 충혜공(忠惠公) 연원(連源)과 익효공(翼孝公) 강(鋼)과 청양군(靑陽君) 의겸(義謙)은 그의 고조부, 증조부, 조부이다. 영의정 청천부원군(領議政靑川府院君)에 추증된 엄( ![]() 나이 12歲에 아버지를 여의고 형들에게서 수학(受學)을 하여 경서와 사적을 통달하였고 16歲에 향시(鄕試)③에 붙었으나 성시(省試)④를 치르지 못한 채 가정에서 재난을 만나 다시는 과거를 보지 못한 채 문을 닫고 벽을 향하고 때로는 자연스럽게 전에 읽던 글을 외우면서 세월을 보내다가 얼마 안 되어 병으로 일어나지 못했다. 천품이 도에 가깝고 바탕이 소박하면서도 간결하고 묵묵하여 도량이 깊고 컸으며 행동이 정확하여 소년으로서 이미 노성하였다. 시는 맑고 아름답고 절묘하고 놀랄 만큼 잘 지었고 속세의 잡된 생각이 전혀 없어 자못 신선 같았다. 혹 그의 유고를 간추리고 혹 그의 묘에 표시하여 후세에 전한 이는 소암(疎庵) 임숙영(任叔英)과 택당(澤堂) 이식(李植)이고 그의 시를 알뜰히 모아서 그의 행적을 저술하여 제공에게 알린 이는 희세(熙世)이니 그의 아우이고 그의 관향과 세계(世系)와 전후사정을 기록해서 그의 무덤에 묻고 그의 문장을 수식하고자 아니한 이는 동회(東淮) 신익성(申翊聖)이니 이로써 묘지(墓誌)를 삼는다. 동양위 신익성(申翊聖) 지음. 주(註) ① 간좌곤향(艮坐坤向):24방위를 알리는 것이니, 서남간 向임. ② 체백(體魄):시체. ③ 향시(鄕試):지방별로 치르는 예비시험. ④ 성시(省試):본 고시이니 예비시험, 즉 향시에 합격한 자만이 응시할 수 있는 중시(重試)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