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군수공(휘 빈)족장비문

안성군수 휘 빈 배이천서씨 묘소
소재지:남양주군 오남면 양지리 선영

묘표석


九世祖 贈嘉善大夫 吏曹參判 兼 同知義禁府事 安城郡守 諱 濱 族葬碑文
沈爲靑松巨姓有諱德符左侍中封靑城伯靑城生澄仁壽府尹府尹生石雋贈戶曹判書判書生璿京畿觀察使觀察使生安仁慶尙右道兵馬節度使節度使聘于駙馬坡原尉尹公泙之門寔生公於景泰乙亥歲諱濱字磯叟幼而志學中進士弱冠以翁主之外孫特授 顯陵參奉例遷參職爲主簿監察陞判官司議移刑曹正郞陞軍器寺僉正爲親乞郡安城淸愼莅職吏民畏愛考未滿數月卒于官邑人如悲親戚妣貞夫人利川徐氏卽貞敏公弼之之後曾祖晋寶文閣學士祖混工曹參議考岡成均館大司成聘于工曹參判李延孫之門乃生於丁丑歲理家有義方爲門黨所式自括髮之後一不梳理常曰未卽自盡者以三孤未成婚爾摹畵影幀朝夕躬奠朔望省墓號慟不輟卒以毁瘠壽筭皆纔四紀而妣僅嬴一年孰勸爲善痛矣哉壬戌冬十月初五日卒越明年春二月葬于先塋之側乙丑夏六月初二日卒秋八月祔葬焉乙巳春以孤全羅道觀察使追贈是爵男女各三長曰光門安岳郡守次曰光庭 宣陵叅奉次卽孤魁乙酉科女適道安正轍次適崔秀彦次適監役李揜安岳初娶綾川君具壽永之女後娶鎭江正之女皆無子以鎬爲後參奉娶蛇山君女生一男曰鏡造紙署別提孤娶判決事趙邦禎之女生四男一女曰鉉典牲署參奉曰鎬進士曰鍊西部參奉曰錦女適義盈庫主簿朴胤韓鎬娶承旨金弘胤女鏡娶判書申鏛女生一男三女鉉娶監察金熙女生一男二女鍊娶牧使李世健女生一女錦娶縣監閔希說女生一男朴胤韓生一男一女道安正生一男文川正壽甲娶左贊成金克福之女生五男六女曰文衡縣監生三男曰虞衡生員生一男曰周衡生一男一女曰漢衡女適府使韓蘊生二男一女次適監察梁久信生三男一女次適府使朴鐵壽生二女次適朴應順生一男崔秀彦生一女適司評許凈李揜生三女長適李姬奭生五男次適參奉禹治洪生二女次適校理鄭宗榮生二男一女內外高曾孫總七十餘人初王父節度使公之葬卜廣州之南長旨里之原庚坐甲向貞夫人尹氏祔焉自是山之上下旁支類葬封幷封纍然相向皆子孫也考妣之墓距先塋左側十武許叔父僉正淡之合塋在其右左一壠卽伯兄光門之雙塋也右一壠從兄僉正光孫之雙墳也其下卽光孫女李堜妻墓也面山之東別壠卽外王父大司成徐公之塋也山之西越麓夫人李氏塋也以王父塋兆狹窄故相對而葬其次姑母徐氏之墓也諸兒孫夭殤者皆葬于山之東麓今年春正月妻趙氏卒葬于祖考妣塋後坐向同其原虛其右以俟我焉嗚呼孤生纔過十歲俱夫怙恃娣妹諸兄皆康强早世形單影隻孑孑靡依幸承餘慶登仕顯要榮貴雖極誰爲怡愉常見人有父母兄弟和樂則每懷風樹之悲哀慕常言曰生不奉養而侍側死而追陪泉下此孤之至願也且有溺愛之偏拊育諸兒常欲置于膝下比屋共居同歡一室福過灾生室人今亡獨孤苦在世幾何生而抱無涯之慼沒而有相從之理樂且無窮以是遺戒子孫雖雲仍百世之後毋拘風水之忌隨山之前後左右而葬之骨肉同歸於一邱庶不負追遠之志矣吁其永念之哉褒揚先烈未敢焉只叙葬兆之原以示不朽云爾

嘉靖二十九年十月 日
嗣子嘉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義禁府春秋館事 光彦識
孫婿中訓大夫行弘文館校理知製敎兼經筵侍讀官春秋館記注官鄭宗榮書


9세조 증가선대부 이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안성군수 휘 빈(濱) 족장비문
沈氏는 청송(靑松)의 거성(巨姓)으로, 휘(諱) 덕부(德符)는 좌시중(左侍中)을 역임했고 청성백(靑城伯)에 봉해졌다. 청성백(靑城伯)은 인수부윤(仁壽府尹)을 역임한 징(澄)을 낳으시고, 부윤(府尹)은 호조판서(戶曹判書)에 추증(追贈)된 석준(石雋)을 낳으셨다. 판서(判書)는 경기관찰사(京畿觀察使)를 지낸 선(璿)을 낳으셨고, 관찰사(觀察使)는 경기우도병마절도사(京畿右道兵馬節度使)를 역임한 안인(安仁)을 낳으셨다. 절도사(節度使)는 부마(駙馬)인 파원위(坡原尉) 윤평(尹泙)의 가문으로 장가가셨는데, 이 분이 경태(景泰) 乙亥年(1455)에 휘(諱) 빈(濱)이고 자(字)가 기수(磯첤)이신 분을 낳으셨다.
어려서부터 학문에 뜻을 두어 進士에 합격했고, 약관(弱冠)의 나이에 옹주(翁主)의 손자였으므로 특별히 현릉참봉(顯陵參奉)에 제수(除授)되었으며, 예(例)에 따라 주부(主簿)와 감찰(監察)로 천직(遷職)되었다. 그리고 판관(判官)과 사의(司議)로 승직(陞職)하셨고, 형조정랑(刑曹正郞)으로 이직(移職)하셨으며, 군기시첨정(軍器寺僉正)으로 승직하셨다. 부모님의 봉양을 위해 외직으로 나가기를 청하여 안성군수(安城郡守)로 부임하셨고, 청렴(淸廉)하고 신중(愼重)하게 관직에 임했기에 아전과 백성들이 모두 그를 두려워하고 사랑했다. 그러나 임기가 채 몇 달도 남지 않았을 때 관사(官舍)에서 돌아가셨는데, 이때 邑人이 마치 친척의 죽음을 슬퍼하듯 하였다.
夫人은 貞夫人 利川徐氏이니, 바로 정민공(貞敏公) 필(弼)의 후손이다. 증조부(曾祖父)는 보문각학사(寶文閣學士) 진(晋)이고, 祖父는 공조참의(工曹參議) 혼(混)이며, 부친은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 강(岡)으로, 공조참판 이연손(李延孫) 가문의 사위가 되어 丁丑年(1457)에 徐氏를 낳았다. 서씨는 가사(家事)를 다스림에 의로운 방책이 있어 가문의 법식이 되었다. 상(喪)을 당하여 머리를 묶은 이후로 한번도 빗질을 하지 않았는데, 항상 『즉시 자결하지 않는 것은 세 아이가 성혼(成婚)하지 않았기 때문이다』라 말씀하셨다. 영정(影幀)을 어루만지고 朝夕으로 술잔을 올리며 삭망(朔望)으로 성묘를 하면서 비통하게 울부짖는 것을 그치지 않아 마침내 몸이 수척하게 되었다. 두 사람의 수명이 겨우 48세였는데, 부인이 겨우 한 해를 더 살았다. 그 누가 부인에게 극진히 애통해 할 것을 권했었겠는가? 심공(沈公)은 壬戌年(1502) 겨울 10월 5일에 돌아가셨고, 이듬해 봄 2월에 선영(先塋)에 장사지냈으며, 부인(夫人)은 乙丑年(1505) 여름 6월 2일에 돌아가셔 가을 8월에 합장(合葬)했다. 을사년(乙巳年) 봄에 전라도관찰사(全羅道觀察使)인 나로 인해 이러한 관작(官爵)에 추증(追贈)되었다.
아들과 딸 각각 세 명씩을 두었다. 장남은 안악군수(安岳郡守)인 광문(光門)이고, 차남은 선릉참봉(宣陵參奉)인 광정(光庭)이며, 나는 을유년(乙酉年) 과거(科擧)에 장원(壯元)했다. 장녀는 도안정(道安正) 철(轍)에게 시집갔고, 차녀는 최수언(崔秀彦)에게 시집갔으며, 막내는 감역(監役) 이엄(李揜)에게 시집갔다. 안악군수(安岳郡守)는 처음에 능천군(綾川君) 구수영(具壽永)의 딸에게 장가갔고, 이후에 진강 정찬(鎭江正攢)의 딸에게 장가갔으나, 모두 아들을 낳지 못했기 때문에 호(鎬)를 후사(後嗣)로 삼았다. 선릉참봉(宣陵參奉)은 사산군(蛇山君)의 딸과 혼인하여 아들 하나를 낳았는데, 이름은 경(鏡)으로 조지서별제(造紙署別提)를 역임했다. 나는 판결사(判決事) 조방정(趙邦楨)의 딸과 혼인하여 4남 1녀를 두었으니, 현(鉉)은 전생서(典牲署) 참봉(參奉)이고, 호(鎬)는 진사(進士)이며, 연(鍊)은 사부(四部) 참봉(參奉)이고, 막내는 금(錦)이다. 딸은 의영고(義盈庫) 주부(主簿)인 박윤한(朴胤韓)에게 시집갔다. 호(鎬)는 승지(承旨) 김홍윤(金弘胤)의 딸과 혼인했고, 경(鏡)은 판서(判書) 신상(申鏛)의 딸에게 장가가서 1남 3녀를 두었다. 현(鉉)은 감찰(監察) 김희(金熙)의 딸에게 장가가 1남 2녀를 두었다. 연(鍊)은 목사(牧使) 이세건(李世健)의 딸과 혼인하여 딸 하나를 두었고, 금(錦)은 현감(縣監) 민희열(閔希說)의 딸과 혼인하여 아들 하나를 두었다. 박윤한(朴胤韓)은 1남 1녀를 두었다. 도안정(道安正)은 1남을 두었으니 문천정(文川正) 수갑(壽甲)이다. 그는 좌찬성(左贊成) 극복(克福)의 딸과 혼인하여 5남 6녀를 두었다. 현감(縣監) 문형(文衡)은 3남을 두었고 생원(生員) 우형(虞衡)은 1남을 두었으며, 주형(周衡)은 1남을 두었고, 한형(漢衡)이 있다. 그리고 장녀는 부사(府使) 한온(韓蘊)에게 시집가 2남 1녀를 두었고, 차녀는 감찰(監察) 양구신(梁久信)과 혼인하여 3남 1녀를 두었으며, 다음은 부사(府使) 박철수(朴鐵壽)에게 시집가 두 딸을 두었고, 그 다음은 박응순(朴應順)과 혼인하여 아들 하나를 두었다. 최수언(崔秀彦)은 딸 하나를 두었는데, 사평(司評) 허정(許凈)에게 시집갔다. 이엄(李헩)은 3녀를 두었는데, 장녀는 이희석(李姬奭)과 혼인하여 다섯 아들을 낳았고, 차녀는 참봉(參奉) 우치홍(禹治洪)과 혼인하여 딸 둘을 두었으며, 다음은 교리(校理) 정종영(鄭宗榮)에게 시집가 2남 1녀를 두었다. 내외의 고증손(高曾孫)이 총 70여인이다.
이전에 왕부(王父)인 절도사(節度使) 公께서 廣州 남쪽 장지리(長旨里)의 庚坐甲向에 묻히셨는데, 貞夫人 尹氏도 합장(合葬)했다. 이로부터 산의 위아래에 방지(旁支) 친인척의 무덤이 연달아 만들어지며 서로를 향하게 되었으니, 모두 자손들이다. 先考와 先妣의 墓所는 선영(先塋)의 좌측과 10보 정도 떨어져 있고, 숙부(叔父)인 첨정 담(僉正 淡)의 합영(合塋)이 그 우측에 있다. 좌측의 한 墓所는 백형(伯兄)인 광문(光門)의 쌍분(雙墳)이고, 우측의 한 墓所는 종형(從兄)인 첨정(僉正) 광손(光孫)의 쌍분이다. 그 아래는 바로 광손(光孫)의 딸인, 이연(李펋) 처의 墓所이다. 산을 마주한 동편에 따로 위치한 무덤은 외왕부(外王父)이신 대사간(大司諫) 徐公의 무덤이고, 산의 서쪽 산기슭 너머에 夫人 李氏의 무덤이 있다. 王父의 墓所가 좁은 관계로 서로 마주한 곳에 장사지냈다. 그 다음은 고모(姑母)인 徐氏의 무덤이고, 요절한 여러 아손(兒孫)들은 모두 산의 동쪽 산기슭에 장사지냈다. 금년 봄 정월에 처 趙氏가 죽자 조고비(祖考妣)의 무덤 뒤편에 같은 방향으로 장사지냈고, 그 오른쪽을 내가 묻힐 자리로 비워놓았다.
아! 나는 태어나 겨우 열 살이 지났을 때 부모님을 모두 여의고, 여러 형들과 자매가 모두 젊은 나이에 돌아가셨기 때문에 혈혈단신으로 의지할 곳 없었다. 다행히 남은 慶事를 이어 벼슬길에 올라 현달(顯達)함이 비록 극에 다다랐으나 누가 이를 기뻐하겠는가! 부모 형제와 화락한 사람을 볼 때마다 매양 풍수지탄(風樹之嘆)의 비애를 느끼며 사모하며 『살아서 부모님을 봉양하며 곁에서 모시지 못했으니, 죽어서라도 황천에서 모시겠노라』 라고 말했느니, 이것이 나의 지극한 소원이었다. 또한 지나친 편애로 여러 아이들을 어루만지며 늘상 아이들을 무릎 아래 두고 집을 연이어 함께 살며 한 방에서 기쁨을 나누고 싶었는데 행복이 다하자 재앙이 찾아와 夫人은 지금 죽고 없다. 외롭게 홀로 괴로워 하노라니 세상에 그 누가 남아 있는가? 살아서는 끝없는 슬픔을 안고 있다가도 죽어서는 서로를 좇을 이치가 있을 터이니 기쁨이 장차 무궁하도다. 이것으로써 자손에게 훈계를 남기나니, 비록 백 세가 흐르더라도 風水의 거리낌에 구애되지 말고 산의 전후 좌우에 따라 장사지내어 골육(骨肉)이 하나의 들에 함께 귀의해 추원(追遠)의 뜻을 저버리지 말지어다. 아! 영원히 명심할 지어다. 선조의 공열을 포양(襃揚)하는 것은 감히 하지 않고, 다만 장사지낸 무덤만을 서술하여 불후의 뜻을 보여줄 뿐이다.

가정 29년(1550) 10월 일
사자 가선대부 이조참판 겸 의금부 춘추관 동지사 광언 짓고,
손서 중훈대부 행 홍문관교리 지제교 겸 경연시독관 춘추관 기주관 정종영 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