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관공(휘 세숙)제단비명

판관 세숙


왕석단종조(往昔端宗朝)의 판관청송심공(判官靑松沈公)의 諱는 세숙(世叔)이니 고려(高麗) 문림랑위위사승(文林郞衛尉寺丞) 청기군(靑己君) 휘(諱) 홍부(洪孚)가 시조(始祖)이다. 祖의 諱는 원부(元符)요 號는 악은(岳隱)이요 전리판서(典理判書)로 여선(麗鮮)의 정혁(鼎革)을 當하자 두문동(杜門洞)으로 들어가 순절(殉節)하여 두문서원(杜門書院)을 비롯하여 장성(長城)의 경현사(景賢祠)와 청송(靑松)의 경의재(景義齋)와 파주(坡州)의 고려충열사(高麗忠烈祠)에 봉향(奉享)되었으며 考의 諱는 천주(天柱)요 號는 야일(野逸)이니 현영(縣令)이었다. 公이 일찍이 판관(判官)이 되었다가 그 종현손 희괄(從玄孫 希括)이 충의(忠義)로서 上王으로 물러난 단종(端宗)의 부위(復位)를 모의(謀議)한 禍가 일어나자 영남(嶺南)으로 거가피신(擧家避身)하여 자취를 숨기고 一生을 마쳤다. 따라서 자손(子孫)들이 세거(世居)한지 오백여성상(五百餘星霜)이라 그동안 상란(桑瀾)의 변천(變遷)으로 문적(文籍)을 탕실(蕩失)하여 公의 표덕(表德)과 生卒 및 종관(從官)의 사적(事蹟)을 상고(詳考)할 수 없으며 선공(先公)의 묘소(墓所)까지 모두 실전(失傳)하였다. 그리고 비위(妣位)와 배위(配位)의 姓氏 및 분묘(墳墓)도 모두 실전(失傳)하였다. 보첩(譜牒)에 다만 公의 관함(官銜)만 판관(判官)으로 기재(記載)되어 있으며 公의 아들은 시민(時敏)이요, 그 아들 희문(希文)은 목사(牧使)였다. 그後 자손(子孫)들이 점차 번창(繁昌)함에 따라 문학(文學)과 관면(冠冕)이 선연혁세(蟬聯赫世)하여 교남(嶠南)의 저벌(著閥)이 되었으니 이는 公의 적누(積累)의 증험(證驗)이었다. 후손(後孫)들이 실묘(失墓)한 조선(祖先)에 對하여 춘로추상(春露秋霜)에 전성(展省)할 곳이 없어 추모미체(追慕靡逮)의 슬픔이 간절(懇切)하여 월애요산(月涯堯山) 기슭의 명당(明堂)에 이미 먼저 선공현영공(先公縣令公)의 제단비(祭壇碑)를 세웠으며 이제 또 그 아래 公의 제단비(祭壇碑)를 세워 분필(芬苾)을 드리려고 하였으니 그 효사(孝思)가 지극하여 足히 이 효박(淆薄)한 세속(世俗)의 모범(模範)이 될 것이다.
재천(在天)의 신(神)은 지중(地中)의 물과 같아 어디에나 왕내(往來)하나니 하물며 이곳은 후손(後孫)들의 세거지(世居地) 곁이라 세거지(洋洋)한 정상(精爽)이 반드시 이에 의빙(依憑)하며 훈호 처창(焄蒿 悽搶)하여 명명(冥冥)한 가운데 감통(感通)할 것이다. 석물(石物)이 이미 갖추어지자 公의 주손 기용보(胄孫 璣用甫)가 그 친족(親族) 대용(大用) 의용(義用)과 함께 나에게 비명(碑銘)을 請하였다. 나의 천멸(淺蔑)로 감당(敢當)할 수 없었으나 그 독실(篤實)한 추효(追孝)에 감동(感動)되어 가승(家乘)을 살펴 위와 같이 약술(略述)하고 이어
 銘을 하니
 銘에 이르되
충신(忠臣)의 초손(肖孫)이요 순양(循良)의 현윤(賢胤)이라 세덕(世德)을 이어받아 환로(宦路)에 올랐으나 乙丙年의 禍를 避해 남향(南鄕)으로 퇴둔(退遯)하여 자취를 숨기고서 일생(一生)을 마쳤도다. 세대(世代)가 멀어지고 상해(桑海)가 누번(屢飜)하여 문헌(文獻)이 인몰(湮沒)되고 유당(幽堂)을 잃었도다. 복선(福善)의 천도(天道)있어 운잉(雲仍)이 번성(蕃盛)하자 보본(報本)의 誠 간절(懇切)하여 추양(追養)할 터를 定해 壇을 쌓아 享祀(향사)하고 碑를 세워 첨모(瞻慕)하니 요산(堯山)의 기슭으로 父子가 동원(同原)이라 신리(神理)에 합당(合當)하고 정예(情禮)를 겸비(兼備)했다. 바람을 말을 삼고 구름을 수레삼아 千萬年 내려가며 여기에 척강(陟降)하리.
2002年 10月 上浣
豊山 柳龍佑 謹撰
宣城 李恒稙 謹書
胄孫  璣用 謹竪